본문 바로가기
컴퓨터IT

공유기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의미 설정방법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하다보면 공유기 포트포워딩을 해야하는 작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포트포워딩이란 인터넷이 연결된 방화벽 혹은 공유기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내부 PC 나 NAS, IoT기기 등 여러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입니다. 

 

포트포워딩이란?

포트포워딩(Port Forwarding)이란 네트워크 접속 시 특정 포트를 지정한 장소로 보내는(Forwading) 기능입니다. 만일 인터넷라인을 노트북에 바로 연결하고, 원격지에도 다른 장비를 인터넷장비에 바로 연결했다면 포트포워딩의 기능은 필요가 없습니다. 즉, 포트포워딩은 방화벽이나 공유기 아래에 사설IP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적용이 가능한 기능 입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홈페이지 서버가 있다면, 하나의 인터넷 IP로 연결된 서버에는 https://도메인1 이렇게 연결이 됩니다. 만일 도메인2, 도메인3 등 여러 홈페이지 서버를 하나의 인터넷IP로 연결하려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설정합니다.

 

443포트 -> 도메인1 서버

4443포트 -> 도메인2 서버

4445포트 -> 도메인3 서버

 

이렇게 설정을 하면 외부에서 하나의 IP에 대해

https://도메인1

https://도메인2:4443

https://도메인3:4445

 

이렇게 연결을 하면 하나의 IP에 대해 3개의 홈페이지서버에 연결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포트포워딩 기능은 방화벽, 공유기 등 대부분의 인터넷 연결장비에서 지원을 합니다. 다만 제조사에 따라 설정하는 방법이 다 다르지만 기본 원리는 같기 때문에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는 IPTIME 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며, 다른 공유기라도 개념만 이해했다면 설정이 가능합니다.

 

 

공유기의 Advanced Setup에서 NAT/Routing 하단에 Port Forwarding을 선택합니다.

 

80포트를 내부 IP 192.168.11.10 으로 포트포워딩 설정한 화면입니다.

이미 적용된 정책은 상단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추가로 포트포워딩 설정은 하단에 설정이 가능합니다.

Rule 이름, 포워딩 대상 IP설정, 프로토콜 TCP(일반적인 포트포워딩은 TCP프로토콜 입니다. )

External Port : 외부 포트

Internal Port : 내부 포트

 

위와 같이 내부,외부 포트를 동일하게 80으로 지정했다면, 

 

외부에서 80포트로 접속하면 내부 192.168.11.10 시스템에 80으로 접속을 하게 됩니다.

 

포트포워딩 응용

위 도메인을 예로든 홈페이지 서버가 3대있다고 가정을 하면,

외부포트 : 444

내부포트 : 80

Internal IP : 도메인1 서버의 IP

 

외부포트 : 4443

내부포트 : 80

Internal IP : 도메인2 서버의 IP

 

외부포트 : 4445

내부포트 : 80

Internal IP : 도메인2 서버의 IP

 

 

이렇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IP에 같은 포트 2개를 서로다른 장비로 포트포워딩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위사례처럼 응용하여 포트를 변경설정한다면 포트포워딩을 통해 다수의 장비에 접속하는 정책을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