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재테크 부업

양방향 교차수익 Cross Margin Future Grid Bot

변동성이 심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등락에 신경 쓰지 않고 꾸준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에서 나온 것이 Pionex 거래소의 Cross Margin Future Bot입니다. 투자자는 가격이 상승하든, 하락하든 햇징을 통해 손실을 줄이고 양방향의 교차거래 수익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습니다.

Cross Margin Future Grid Bot 이란?

이 봇은 Long, Short Grid 봇을 동시에 만들어서 교차수익을 만들고, Margin을 공유합니다. 마진이 공유되므로 한 그리드에서 발생한 수익이 다른 그리드의 마진 부족을 효과적으로 보상하여 총 필요 마진을 줄이고 자본 활용도를 높입니다. 이렇게 한 번에 양방향 롱, 숏 그리드 봇을 만드는 기능은 Pionex 거래소에서만 유일하게 제공되는 특화된 서비스입니다.

 

Pionex거래소 가입

 

Cross Margin Future Grid Bot 설정 ( 웹브라우저 기준 )

Pionex거래소는 모바일버전 및 웹브라우저 버전이 있으며, 설정 방법은 웹브라우저 기준으로 설명드립니다.

Cross Margin Futures Grids Bot

상단 Futures 메뉴에서 Futures Bot을 선택합니다. 이때 거래쌍은 BTC/USDT ( USDT-M Perp )를 선택합니다.

*암호화폐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가급적 변동성이 덜한 BTC봇을 추천드립니다.

Create를 클릭합니다.

Long grid, Short Grid 2개를 Add 할 수 있습니다.

 

먼저 Long Grid의 +Add를 클릭합니다.

Price Range : 자동 거래봇이 동작하는 가격 범위 ( 가격이 범위를 넘어가면 봇은 더 이상 거래를 진행하지 않음 )

Quantity of Grids : 가격범위 안에 Grids를 몇 개 만들지 설정

Profit/Grid : 하나의 그리드 범위에서 거래가 성공할 때 이율 

Actual Invest : 전체 투자 금액

15x (레버리지) : 레버리지 거래 배율

 

만일 그림과 같은 설정을 했다면 Short Grid bot도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설정합니다.

 

테스트 봇 설정하기 

처음 설정하시는 분들은 각각의 값들이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떤 위험성, 수익이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테스트로 봇을 만들어보는 방법도 봇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때 극단적인 설정값으로 손실이 크게 나면 안 되기 때문에 아래 내용으로 간단하게 봇을 만들고 1주일 이상 모니터링 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 가능한 레버리지는 5배 이하로 설정

2. Price Range는 1~2주 이내에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넓게 설정

3. Profit/grid는 0.1x%~ 0.2x% 정도 유지

4. 최소한 투자금 설정 ( Long, Short 동일한 금액 투자 )

 

봇을 운영해 보면 가격이 오르거나 내려도 수익이 크게 변동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교차거래 수익이 늘어나면서 조금씩 수익이 늘어나게 됩니다.

 

실전 투자 및 설정값

투자에는 각자 성향이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정답은 없습니다. 각 설정값에 대한 기본적으로 유의해야 할 사항을 고려해 보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만 이 봇은 단기적으로 수익을 보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수익이 나지 않거나 손실이 날 수도 있습니다. 

 

Price Range

마침 이 글을 쓰고 있을 때 비트코인이 크게 하락을 했습니다. 만일 가격 범위를 벗어나서 하락한다면 봇은 더 이상 그리드 거래를 하지 않아서 수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장기 투자를 한다면 몇 달 정도의 최고, 최저 가격을 산정하여 가능한 범위를 넓게 잡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의사항 : 일반 Grid bot과 다르게 Cross Margin Future Grid bot은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봇이 자동 종료됩니다. 봇을 운영할 기간을 정하고, 기간 내 가격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여유있게 범위를 설정하는것을 권장합니다.

 

Profit/Grid 

테스트 봇에서는 이 값을 최소한으로 유지했습니다.

Profit이 적을수록 잦은 거래가 이뤄지고, 조금씩 수익을 만듭니다. 급 등락 시 상대적으로 수익이 적습니다.

Profit이 클수록 거래는 적어지지만 등락이 클 때 조금 더 많은 수익을 만듭니다. 급 등락 시 상대적으로 수익이 큽니다.

시장이 급등, 급락을 자주 한다면 클수록 좋고, 횡보가 길어진다면 적을수록 좋습니다.

 

장기 투자한다면 이 값을 1% 이상 늘려서 잡으면 거래는 적지만 전체 수익은 늘어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잡으면 어느 정도 기간 동안은 수익이 없거나 손실이 나기도 합니다. 기간이 길어지면 점차 수익이 늘어나게 됩니다.

 

Leverage

한 방향으로 크게 변동이 생겼을 때 레버리지 영향으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다시 반등하면서 수익을 볼 수도 있습니다. 투자 성향에 맞게 그리고 몇 번 테스트봇을 돌려본 후 레버리지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양방향 했지 역할이 있기 때문에 1,2배의 너무 소극적인 배율보다는 조금 더 높게 설정해도 괜찮아 보입니다.

 

관리

봇을 생성했다면 가끔 확인하는 것 말고는 손댈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봇도 청산 가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급락, 급등 시 청산의 위험이 있다면 Extra Margin을 추가해서 청산 범위를 더 넓게 잡아줘야 합니다. 범위를 넘어설 정도로 가격이 상승, 하락했다면 일정 수익을 취하고 봇을 종료한 후에 다시 범위를 잡아서 봇을 만드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시장 가격이 크게 변동하더라도 일정한 수익을 얻고자 하는 욕망은 누구나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을 예치하여 이자를 받는 방법도 있고, 비트코인은 장기 우상향한다는 믿음으로 spot 혹은 long future grid bot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암호화폐 특성상 예상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격이 크게 움직이면 손실이 커지게 됩니다.

 

이런 시장의 변동성에 덜 영향받으면서 장기투자로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대안으로 Cross Margin Future Grid bot을 추천드립니다.

댓글